2021-08-24

별과 은하수 사진 찍는 법 .....

 


1. 별, 은하수가 잘 보이는 지역으로 가세요

 -> 당연히 도심 보다는 광해가 없는 곳

 

2. 별, 은하수 위치를 파악하세요

 은하수의 경우 7월 남쪽 기준으로 동쪽 방향 에서 뜨기 시작하고, 7월 이후 남쪽가까이서 뜨기 시작.

그래서 3월, 4월 이럴때는 동해안 이나 일출 방향에서도 은하수를 볼수 있습니다

요즘은 어플도 좋으니 활용 하시면 좋습니다.

스카이워크, 스카이가이드의 경우 은하수가 몇시쯤 어디서 어떻게 이동하는지 나오기 때문에 유용함

 

3. 날씨

은하수를 매일 볼수 있는건 아닙니다. 은하수 관측에 가장 방해하는게 도심의 광해 지만

그 못지 않은게 달 입니다 .. 은하수는 매일 있지만 달빛 때문에 은하수가 보이지 않는거..

그래서  달이 있는 시간을 파악 하고, 보름달 보다는 달이 없는 날을 선택해야 함..

어플로는 달의 위상 같은 거 활용하면 오늘 달이 몇시에 뜨고, 몇시에 지는지 확인 가능하며, 보름달, 초승달 달 크기도 파악이 가능

 

4. 구름, 미세먼지, 시정

달 없고, 광해 없어도 구름이 많거나 시정이 안좋으면 당연히 잘 안보이겠죠?

그래서 항상 날씨를 체크해야 함

기상청 홈페이지  뿐 아니라 어큐웨더, 케이웨더, windy 등 다양한 날씨 어플로 크로스체크로 날씨 상황을 파악

 

5. 촬영 관련

렌즈는 가능하면 광각, 그리고 밝은 렌즈가 좋겠죠

16미리, 20미리, 15미리 , 어안 등 최대한 가지고 계시는 광각 렌즈로 활용.

그리고 렌즈 화각에 따라 별이 흐르지 않는 최대 셔터속도를 계산해서 노출을 정하시면 됩니다

400rul 이라고 400 나누기 렌즈 화각을 하면 됩니다

즉, 16미리 화각이면 400/16 하면 26.262626 이니깐 최대 26초를 넘기지 않으면 됩니다

이걸로 조리개, iso를 조정 하시면 됩니다

조리개는 가능하면 최대 개방 보다는 한스텝 쪼이는게 좋습니다. 아무래도 대부분의 렌즈들이 최대개방시에 비네팅이나 주변부화질저하 등등

여러문제들이 발생하니..

그리고 주경이나 일반적인 촬영에서는 좀 어둡게 찍어도 암부 살려도 크게 문제 없지만

새벽 아무것도 잘 안보이는 곳을 찍을때는 가능하면 좀 밝게 찍는게 좋습니다

어둡게 찍어서 후보정에서 암부 살리는 노이즈 가 처음부터 찍을때 iso 높게 설정해서 나오는 노이즈 보다 더  지저분한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컬러노이즈도 생기구요..

그래서 최대한 밝게... 대부분 iso는 3200 정도...

 

6. 은하수는 볼수 있는 추천 장소

- 유명한 곳은 태백산 , 설악산,  매봉산, 안반데기, 양평벗고개,  보은 원정리, 황매산, 덕유산, 지리산, 영양, 봉화 지역, 거제도 등등

굳이 등산 안해도 차로 갈수 있는 곳도 많습니다. 물론 이런곳은 사람들도 많겠죠?


'모피어' 님의 사진과 글을 옮겨왔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